본문 바로가기
데이터분석/TIL

240620 TIL

by Freely_ 2024. 6. 20.
728x90
반응형

아티클 스터디

 

개발자가 블로그를 운영하면 좋은 점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535/)


1. 단순 TIL을 주로 올리는 건 지양
자주 연재하면 좋은 글은 서론, 본론, 결론 형식의 '아티클'

2. 아티클은 주제와 구성이 명확한 글
개발하며 가진 고민이 곧 주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민하는 과정이 서론, 본론, 결론에 들어감
같은 문제도 사람마다 고민과 해결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글 쓴 사람의 개성이 잘 드러날 수 밖에 없음
명확한 주제 의식은 글의 몰입감을 높임

3. 아티클 로드맵
본인이 최근에 가장 주목하거나 집중하고 있는 기술을 주제로 선택
앞으로 유행할 기술을 공부하기 전에 글의 주제로 삼고 작성하면 성장에도 도움
버그 해결 과정에서 탐구한 기술


주제, 글감은 구체적일수록 좋다
주제에 대해 알아보고 개념 자체가 낯설다면 여러 번 읽어서라도 완전히 이해하고 글을 쓰는 것이 좋고
이를 이해하기 위해 연관된 다른 개념을 알아야 한다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대한 샅샅이 공부한 후 글을 쓰는 것이 좋음


제목은 문제의식을 던지면서 작성하면 좋음
내가 최초에 가졌던 문제의식을 제목이나 첫 문장으로 적고 생각나지 않는다면 기술을 처음 개발한 개발자에 감정이입 해도 좋음


어느정도 마무리 되었으면 독자의 입장이 되어 매끄럽게 글이 읽어질 때까지 읽으면서 고침
잘 모르는 사람이 읽어도 이해 할 수 있게 쓰는 게 가장 좋음

4. 코드 스니펫
긴 설명보다 코드를 직접 보여주는 것이 편한 경우가 많음
이해를 돕기 위한 스니펫이라면 일정 부분 생략해서 너무 길지 않게 작성

5. 개발 블로그 지속해서 운영하기
위 방식으로 아티클을 쓰려면 시간이 많이 들어 포스팅 주기가 길어지는 단점이 생김
짧은 주기로 TIL을 올리고 이 중 하나를 주제로 삼아 아티클을 작성하는 방식
TIL을 쓸 때 아티클을 염두에 두고 여러 의문을 제기하는 것도 좋음

728x90
반응형

'데이터분석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0624 TIL  (0) 2024.06.24
240617 TIL  (1) 2024.06.17
240614 TIL  (0) 2024.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