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데이터분석/TIL

240903 TIL

by Freely_ 2024. 9. 3.
728x90
반응형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검사지에는 총 n개의 질문이 있고, 각 질문에는 아래와 같은 7개의 선택지가 있습니다.

매우 비동의
비동의
약간 비동의
모르겠음
약간 동의
동의
매우 동의


각 질문은 1가지 지표로 성격 유형 점수를 판단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한 질문에서 4번 지표로 아래 표처럼 점수를 매길 수 있습니다.

이때 검사자가 질문에서 약간 동의 선택지를 선택할 경우 어피치형(A) 성격 유형 1점을 받게 됩니다. 만약 검사자가 매우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할 경우 네오형(N) 성격 유형 3점을 받게 됩니다.

위 예시처럼 네오형이 비동의, 어피치형이 동의인 경우만 주어지지 않고, 질문에 따라 네오형이 동의, 어피치형이 비동의인 경우도 주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각 선택지는 고정적인 크기의 점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매우 동의나 매우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하면 3점을 얻습니다.
동의나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하면 2점을 얻습니다.
약간 동의나 약간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하면 1점을 얻습니다.
모르겠음 선택지를 선택하면 점수를 얻지 않습니다.


검사 결과는 모든 질문의 성격 유형 점수를 더하여 각 지표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은 성격 유형이 검사자의 성격 유형이라고 판단합니다. 단, 하나의 지표에서 각 성격 유형 점수가 같으면, 두 성격 유형 중 사전 순으로 빠른 성격 유형을 검사자의 성격 유형이라고 판단합니다.

질문마다 판단하는 지표를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survey와 검사자가 각 질문마다 선택한 선택지를 담은 1차원 정수 배열 choic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검사자의 성격 유형 검사 결과를 지표 번호 순서대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 제한사항

1 ≤ survey의 길이 ( = n) ≤ 1,000
survey의 원소는 "RT", "TR", "FC", "CF", "MJ", "JM", "AN", "NA" 중 하나입니다.
survey[i]의 첫 번째 캐릭터는 i+1번 질문의 비동의 관련 선택지를 선택하면 받는 성격 유형을 의미합니다.
survey[i]의 두 번째 캐릭터는 i+1번 질문의 동의 관련 선택지를 선택하면 받는 성격 유형을 의미합니다.

 

choices의 길이 = survey의 길이
choices[i]는 검사자가 선택한 i+1번째 질문의 선택지를 의미합니다.
1 ≤ choices의 원소 ≤ 7

 

  • 풀이
def solution(survey, choices):
    answer = ''
    dic = {'R':0, 'T':0, 'C':0, 'F':0, 'J':0, 'M':0, 'A':0, 'N':0}
    for i in range(len(survey)):
        s1, s2 = survey[i][0], survey[i][1]
        if choices[i] <= 3:
            dic[s1] += 4 - choices[i]
        elif choices[i] > 4:
            dic[s2] += choices[i] - 4
            
    if dic['R'] >= dic['T']:
        answer += 'R'
    else:
        answer += 'T'
        
    if dic['C'] >= dic['F']:
        answer += 'C'
    else:
        answer += 'F'
        
    if dic['J'] >= dic['M']:
        answer += 'J'
    else:
        answer += 'M'
        
    if dic['A'] >= dic['N']:
        answer += 'A'
    else:
        answer += 'N'
        
    return answer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코딩테스트를 준비하는 머쓱이는 프로그래머스에서 문제를 풀고 나중에 다시 코드를 보면서 공부하려고 작성한 코드를 컴퓨터 바탕화면에 아무 위치에나 저장해 둡니다. 저장한 코드가 많아지면서 머쓱이는 본인의 컴퓨터 바탕화면이 너무 지저분하다고 생각했습니다. 프로그래머스에서 작성했던 코드는 그 문제에 가서 다시 볼 수 있기 때문에 저장해 둔 파일들을 전부 삭제하기로 했습니다.

컴퓨터 바탕화면은 각 칸이 정사각형인 격자판입니다. 이때 컴퓨터 바탕화면의 상태를 나타낸 문자열 배열 wallpaper가 주어집니다. 파일들은 바탕화면의 격자칸에 위치하고 바탕화면의 격자점들은 바탕화면의 가장 왼쪽 위를 (0, 0)으로 시작해 (세로 좌표, 가로 좌표)로 표현합니다. 빈칸은 ".", 파일이 있는 칸은 "#"의 값을 가집니다. 드래그를 하면 파일들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파일들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머쓱이는 최소한의 이동거리를 갖는 한 번의 드래그로 모든 파일을 선택해서 한 번에 지우려고 하며 드래그로 파일들을 선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드래그는 바탕화면의 격자점 S(lux, luy)를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클릭한 상태로 격자점 E(rdx, rdy)로 이동한 뒤 마우스 왼쪽 버튼을 떼는 행동입니다. 이때, "점 S에서 점 E로 드래그한다"고 표현하고 점 S와 점 E를 각각 드래그의 시작점, 끝점이라고 표현합니다.

점 S(lux, luy)에서 점 E(rdx, rdy)로 드래그를 할 때, "드래그 한 거리"는 |rdx - lux| + |rdy - luy|로 정의합니다.

점 S에서 점 E로 드래그를 하면 바탕화면에서 두 격자점을 각각 왼쪽 위, 오른쪽 아래로 하는 직사각형 내부에 있는 모든 파일이 선택됩니다.

 

예를 들어 wallpaper = [".#...", "..#..", "...#."]인 바탕화면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러한 바탕화면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S(0, 1)에서 E(3, 4)로 드래그하면 세 개의 파일이 모두 선택되므로 드래그 한 거리 (3 - 0) + (4 - 1) = 6을 최솟값으로 모든 파일을 선택 가능합니다.

(0, 0)에서 (3, 5)로 드래그해도 모든 파일을 선택할 수 있지만 이때 드래그 한 거리는 (3 - 0) + (5 - 0) = 8이고 이전의 방법보다 거리가 늘어납니다.

머쓱이의 컴퓨터 바탕화면의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wallpaper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바탕화면의 파일들을 한 번에 삭제하기 위해 최소한의 이동거리를 갖는 드래그의 시작점과 끝점을 담은 정수 배열을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드래그의 시작점이 (lux, luy), 끝점이 (rdx, rdy)라면 정수 배열 [lux, luy, rdx, rdy]를 return하면 됩니다.

 

  • 제한사항

1 ≤ wallpaper의 길이 ≤ 50
1 ≤ wallpaper[i]의 길이 ≤ 50
wallpaper의 모든 원소의 길이는 동일합니다.


wallpaper[i][j]는 바탕화면에서 i + 1행 j + 1열에 해당하는 칸의 상태를 나타냅니다.
wallpaper[i][j]는 "#" 또는 "."의 값만 가집니다.
바탕화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이 있습니다.
드래그 시작점 (lux, luy)와 끝점 (rdx, rdy)는 lux < rdx, luy < rdy를 만족해야 합니다.

 

  • 풀이
def solution(wallpaper):
    answer = []
    a = []
    b = []
    for i in range(len(wallpaper)):
        for j in range(len(wallpaper[i])):
            if wallpaper[i][j] == '#':
                a.append(i)
                b.append(j)
            
    return [min(a), min(b), max(a)+1, max(b)+1]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고객의 약관 동의를 얻어서 수집된 1~n번으로 분류되는 개인정보 n개가 있습니다. 약관 종류는 여러 가지 있으며 각 약관마다 개인정보 보관 유효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당신은 각 개인정보가 어떤 약관으로 수집됐는지 알고 있습니다. 수집된 개인정보는 유효기간 전까지만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났다면 반드시 파기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약관의 유효기간이 12 달이고, 2021년 1월 5일에 수집된 개인정보가 A약관으로 수집되었다면 해당 개인정보는 2022년 1월 4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2022년 1월 5일부터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입니다.
당신은 오늘 날짜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 번호들을 구하려 합니다.

모든 달은 28일까지 있다고 가정합니다.

다음은 오늘 날짜가 2022.05.19일 때의 예시입니다.

첫 번째 개인정보는 A약관에 의해 2021년 11월 1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났으므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입니다.
두 번째 개인정보는 B약관에 의해 2022년 6월 28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아직 보관 가능합니다.
세 번째 개인정보는 C약관에 의해 2022년 5월 18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났으므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입니다.
네 번째 개인정보는 C약관에 의해 2022년 5월 19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아직 보관 가능합니다.

 

따라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 번호는 [1, 3]입니다.

오늘 날짜를 의미하는 문자열 today, 약관의 유효기간을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terms와 수집된 개인정보의 정보를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privaci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의 번호를 오름차순으로 1차원 정수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 제한사항

today는 "YYYY.MM.DD" 형태로 오늘 날짜를 나타냅니다.


1 ≤ terms의 길이 ≤ 20
terms의 원소는 "약관 종류 유효기간" 형태의 약관 종류와 유효기간을 공백 하나로 구분한 문자열입니다.
약관 종류는 A~Z중 알파벳 대문자 하나이며, terms 배열에서 약관 종류는 중복되지 않습니다.
유효기간은 개인정보를 보관할 수 있는 달 수를 나타내는 정수이며,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1 ≤ privacies의 길이 ≤ 100
privacies[i]는 i+1번 개인정보의 수집 일자와 약관 종류를 나타냅니다.
privacies의 원소는 "날짜 약관 종류" 형태의 날짜와 약관 종류를 공백 하나로 구분한 문자열입니다.
날짜는 "YYYY.MM.DD" 형태의 개인정보가 수집된 날짜를 나타내며, today 이전의 날짜만 주어집니다.
privacies의 약관 종류는 항상 terms에 나타난 약관 종류만 주어집니다.


today와 privacies에 등장하는 날짜의 YYYY는 연도, MM은 월, DD는 일을 나타내며 점(.) 하나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2000 ≤ YYYY ≤ 2022
1 ≤ MM ≤ 12
MM이 한 자릿수인 경우 앞에 0이 붙습니다.
1 ≤ DD ≤ 28
DD가 한 자릿수인 경우 앞에 0이 붙습니다.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가 하나 이상 존재하는 입력만 주어집니다.

 

  • 풀이
def Day(day): # 날짜 일수로 통일
    y, m, d = map(int, day.split('.'))
    return y*12*28 + m*28 + d

def solution(today, terms, privacies):
    answer = []
    today = Day(today)
    
    # 약관 유효기간
    term = {}
    for i in terms:
        x, y = i.split()
        term[x] = int(y)*28
    
    # 오늘 날짜, 만료 날짜 비교해 파기 할 번호 구하기
    for j, k in enumerate(privacies, start=1):
        day, terms_type = k.split()
        # 오늘 날짜와 비교해 만료 날짜 지났으면 파기
        if Day(day) + term[terms_type] -1 < today:
            answer.append(j)
    
    return answer

Write a solution to find managers with at least five direct reports.
Return the result table in any order.
The result format is in the following example.

 

최소 5명 이상의 부하 직원이 있는 매니저를 찾는 솔루션 작성

 

  • 풀이
SELECT m.name
FROM employee e JOIN employee m
ON e.managerId = m.id
GROUP BY e.managerId
HAVING count(e.managerId) >= 5

The confirmation rate of a user is the number of 'confirmed' messages divided by the total number of requested confirmation messages. The confirmation rate of a user that did not request any confirmation messages is 0. Round the confirmation rate to two decimal places.
Write a solution to find the confirmation rate of each user.
Return the result table in any order.
The result format is in the following example.

 

사용자의 확인률은 'confirmed' 메시지의 수를 요청된 확인 메시지의 총 수로 나눈 값

확인 메시지를 요청하지 않은 사용자의 확인률은 0

각 사용자의 확인률을 찾는 솔루션을 작성하고 확인률은 소수점 두 자리로 반올림

 

  • 풀이
SELECT s.user_id, round(ifnull(sum(c.action='confirmed')/count(c.user_id),0), 2) confirmation_rate
FROM signups s
LEFT JOIN confirmations c
ON s.user_id = c.user_id
GROUP BY s.user_id

 

  • 다른 사람 풀이
select s.user_id, 
	round(avg(if(c.action="confirmed",1,0)),2) as confirmation_rate
from Signups as s left join Confirmations as c on s.user_id= c.user_id 
group by user_id;

 

Write a solution to report the movies with an odd-numbered ID and a description that is not "boring".
Return the result table ordered by rating in descending order.
The result format is in the following example.

 

홀수 ID와 'boring'이 아닌 영화를 찾는 솔루션 작성하고 rating 내림차순으로 정렬

 

  • 풀이
SELECT *
FROM cinema
WHERE id % 2 = 1 AND description != 'boring'
ORDER BY rating DESC

 

728x90
반응형

'데이터분석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0904 TIL  (0) 2024.09.04
240816 TIL  (0) 2024.08.16
240814 TIL  (0) 2024.08.14